보통 신축 아파트들은 각방에 유선 인터넷을 세팅하는 가장 기초적인 방법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기존 아파트 기본 옵션에 POE 한포트가 연결되어있는걸로 보면 거실에 천장형 ap가 붙어있을것같으로 예상됩니다
WAN포트로 구성하시고 남는 포트에 사진상 보이는 poe포트에도 한포트 연결하시구요(무선AP사용목적)
집이 넓어 끝방까지 좀 힘들다 싶으면 중간방에 공유기 한번 태우고 분배해서 나가도 좋을것같습니다.
공유기 WAN 포트외 LAN 포트 어떤 것이나 저 빨간 네모에 꽂고, 유선이 필요한 방의 케이블을 빨간 네모에 꽂으면
동일 네트워크로 공유기를 통해 인터넷 접속됩니다. 여러 모델이 있는데 사진의 모델의 경우 파란색 1번 포트는 POE 기능이 있어 천장 AP에 전원 + 네트워크가 가능한 포트입니다.
제 방법대로 하면 pc용 하나와 iptv용 하나 이렇게 2개 받아서 쓰고있는 경우에 하나가 놀게됩니다.
공유기에서 tv용으로 알아서 뿌려주기 때문에 결국에는 1개 라인만 사용하게 되는것이구요.
놀고있는 한라인은 거실 천장 ap에 따로 줬습니다. 주의사항으로는 이렇게 하면 공유기에서 나온게 아니다보니 대역이 달라 천장 ap 연결시 다른 내부 네트워크에 접근은 안됩니다. 공유기를 신발장에 박고 듀얼wan(보조 인터페이스)로 사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단자함에서 허브로 각방으로 회선을 보내지 않는경우 이 경우 위에분들이 말씀하신대로 신발장 단자함을 열어서 하는 방법입니다. 벽 전화,랜선포트 문제일 확률이 높을 겁니다. 제 사례는 이경우 였는데 이경우는 방에 있는 랜포트를 드라이버로 따서 랜 포트에 랜선을 연결 시켜줘야 합니다. 마찬가지로 유튜브에 잘 나와있습니다.
두가지 중 어떤방법이 문제인지 확인방법은 우선 랜포트에 공유기나 컴퓨터 등을 연결한 뒤, 신발장 단자함 허브에 지금 쓰고계신 선을 빼서 다른방에 연결후 잘 된다면 1번 문제, 만약 그랬는데도 연결이 안되면 2번 문제 입니다. 인터넷1회선에 1~2포트가 기준이고 이후부터는 통신사에서 제공해 줄 필요 없습니다. 엄밀히 밀하면 월 비용 추가해서 사용료를 내는게 맞을겁니다.
그러니 제공해준 기본공유기외 1포트 연결말고 추가적인 네트워크망작업은 외부업체를 통해야하는게 맞습니다. 개통시 공짜로 원래 다 해주지는 않고, 그건 기사님 재량 이고 서비스 차원 입니다. 각방마다 인터넷 연결이 당연한건 아닐거에요
이래서 신축 아파트에 살면 인터넷 구축에 많은 애를 쓰는게 정말 스트레스가 받을 수 있다는점 알려드립니다.
그리고 노란줄 들어온게 메인 모뎀이구요 거기 파란선이 있을겁니다. 맨위에 보면 그 파란선 잔뜩 꼽혀있는 판에 써져있는 선에 ap라고 써있는거 꼽힌부분이 있는데 메인 모뎀이라고 말한 거에서 파란선 하나 빼서 그판에 꼽고 랜선 하나사서 모뎀 빈자리에 꼽고 그판에 꼽으시면 얼추 될 수 있을 겁니다. 그럼 각방 인터넷 다 잘 될 것입니다.
여기서 집안 유 무선 모두를 동일 network (subnet)으로 구성하고 싶다고 하면, 일단 모뎀에서 나온 랜선 하나를 거실로 보내고 거실에 공유기를 설치 하시면 됩니다. 참고로 파란색 인터넷선 회색 전화전, 그런데 요즘 아파트 들은 전화돈도 인터넷선과 같은 utp cable 사용합니다. 그래서 통신단자함과 거실은 보통 2개 및 최대 3개까지 랜선 연결 가능합니다 TV용 LAN선, 전화선 및 벽 상단 LAN선 등등
그리고 공유기 뒤에서 나온 선 하나를 거실의 전화선(들어온 랜선 바로 위나 옆에 있는)에 연결헤서 다시 모뎀이 있는
단자함 쪽으로 빼 냅니다. 그런후 단자함에서 거실(전화단자)를 위에 SG108 이나 SG308 스위치 허브 1번에 연결 하면 됩니다.
그러면 스위치 허브에 2~8번까지 7개 포트가 남는데 그걸 분배기의 각 방으로 연결 해 주시면 됩니다.
이렇게 되면 집안의 모든 유선과 공유기의 무선이 같은 네트워크 안에 있어서 집에 있는 PC간 폴더 공유도 되고 편리합니다. 거실에 포트가 하나 더 있다면 셋톱 박스는 스위치 허브 거치지 않고 모뎀에서 바로 나온 선으로 연결 해 주셔도 됩니다. 이상으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정보성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구매대행과 미국 구매대행 차이 (0) | 2023.01.13 |
---|---|
혈압과 당뇨의 상관관계 및 치료방법 (0) | 2023.01.03 |
아파트 캣맘의 문제점 (0) | 2022.12.26 |
층간소음 피해자 스트레스 고충 (0) | 2022.12.19 |
습한 화장실 곰팡이 제거법 (0) | 2022.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