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장실을 쓰다보면 벽면에 검은색 곰팡이들이 자주 끼곤 합니다. 매번 화장실 청소할때 솔로 문질러서 제거해줘야 하는
번거로움이 생기는데요. 애초에 곰팡이가 생기지 않게 관리를 해주는것이 필요합니다.
근본적인 해결방법은 환기 잘시키는 수밖에 없고, 아니면 곰팡이 제거 후 곰팡이 방지제를 사용하는것을 추천드립니다.
그리고 샤워를 하고 나면 물제거를 잘해야해요 저같은 경우는 3주에 1번씩 곰팡이 제거제로 욕실 모든곳에 뿌리고 청소하고 1주일에 1번은 청소솔로 청소를 합니다. 그래도 거실화장실은 물을 자주쓰니 물때도 많이생기고 곰팡이가 더 피긴 하더라고요...
주변에서는 다이소나 마트에 젤타입락스를 사서 골고루 펴발라놓고 하루밤 지나고 물로 청소하라고는 하는데 저는 아직 안해봤지만 써보신분들 말씀을 들어보면 완벽히 한번 없애면 덜 생긴다고 합니다. 그후로는 물 락스를 스프레이통에 넣어놓고 생각나면 한번씩 뿌리면 쉽게 제거가 된다고 하네요~
집 구조마다 화장실에 쉽게 곰팡이가 피는 구조도 있다고 하는데요 인터넷에서는 미니 선풍기를 환풍기처럼 구석에 켜두니 곰팡이가 거의 안생긴다고 합니다..
티비에서 전문적으로 하는분들 영상보면 휴지같은걸로 곰팡이 피는곳에 덧대놓고 락스로 적셔 놓고 시간이 어느정도 흐른뒤 제거하면 휴지에 곰팡이가 늘러붙어 제거가 된다고 합니다.
화장실 청소를 주기적으로 해도 곰팡이가 자주 생긴다는 것은 결국 욕실 안이 많이 습하다는 이야기 입니다.
보통 샤워를하고나서 화장실 문을 닫아서 사용하는데, 사용 안할 때는 활짝 열어놓으시고, 환풍기를 틀어놓은다음
샤워 후에 자동차에 다쓴 와이퍼로 유리 거울 벽 같은곳에 물기제거를 하시면 좋습니다.
경험상 이정도만 해주셔도 곰팡이 생기는 주기가 많이 줄어듭니다. 여유가 되시면 제습기를 틀어 놓으시면 더 좋은 방법이 될 수 있습니다.

화장실을 자주 안쓰는 새벽시간에 거품식 락스를 실리콘쪽 곰팡이에 뿌려두고 다음날 아침에 물로 한번 뿌려주면 쉽게 제거 할 수 있고 화장실 바닥은 작은 고무브러쉬로 닦아주고 문은 사용시만 제외하고 열어두면 곰팡이는 잘 안생깁니다.
많은분들이 환기, 청소 매일해도 해결 안되던 문제는 곰팡이 방지 실리콘과, 물 흡수율이 낮은 줄눈으로 시공을 하는 원인이 있습니다. 청소 횟수와 시간이 줄어도 곰팡이 거이 안생기네요. 약간 누렇게 되긴 하지만, 그냥 솔질 살살해도 제거 되니까 확실이 편하네요
시공할때 그냥 일반 실리콘 싸구려 백시멘트로 시공하니까 하자가 계속 발생하는것 같습니다. 작업자도 자기 일하기 편한것을 선호하지 사용자의 편리함은 생각 안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애초에 모르기도 하고요 이 세상의 백시멘트는 홈멘트만 있는줄 알죠. 제가 내린 결론은 비용을 조금 더 써서 애초에 고급 재료로 사용하여 시공했으면 좋겠습니다.
나중에 화장실에 줄눈 시공을 하게 되면 대공사가 되어 먼지와 소음이 날려서 주변 이웃분들께 많은 피해를 줄 수도 있기 때문입니다.
지인집에 놀러갔더니 화장실에 곰팡이가 많아서 락스를 진하게 희석해서 하루 날 잡고 뿌려줬는데
락스가 너무 진하면 정말 고생을 합니다. 냄새도 심하고 계속 기침하고 눈 따갑고 그래도 진하게 하니까 몇 달은 가더라고요 락스를 전체적으로 닦고 시간 좀 두면서 환기하다가 물로 씻으면 베스트입니다. 그리고 남는 부분 없이 전부 다 없애야지 남겨두면 거기서 금방 번지기 시작합니다.
우리가 사소하게 미쳐 보지못한 변기 뒷쪽과 세면대 뒷쪽이 특히 제거하기 힘들어서 거기서부터 번질 때 많더군요.
신경 못 쓰다가 청소할 때 우연히 닦았더니 검은 게 엄청 묻어나왔죠. 정말 사진을 찍고싶었는데 차마 찍을 수 없었어요...
환풍기는 보통 밀실형이라 천장에 달려 있는데, 자꾸 환풍기에서 검은 게 떨어져서 참다참다 환풍기에다 욕실용 뿌리는 락스 쫙쫙 뿌리고 샤워기 수압 모드로 물줄기 분사해댔더니 검은 게 엄청 떨어지는데 쾌감이 너무 심했어요
며칠뒤에 환풍기 고장이 났는데 락스나 물 들어가서 고장난 건지 그래도 더러운 거 떼낸 게 더 좋더라고요.
그래도 아직 더러운 게 남아 있는 것 같으니 다음 번에 또 제대로 주기적으로 청소를 열심히 해봐야 할 것 같습니다.
'정보성 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 구매대행과 미국 구매대행 차이 (0) | 2023.01.13 |
---|---|
혈압과 당뇨의 상관관계 및 치료방법 (0) | 2023.01.03 |
아파트 캣맘의 문제점 (0) | 2022.12.26 |
층간소음 피해자 스트레스 고충 (0) | 2022.12.19 |
신축 아파트 유선 인터넷 각방 세팅 구축 방법 (0) | 2022.12.18 |